청년들의 꿈과 목표를 뒷받침하기 위해 정부에서 복지정책을 운영합니다 오늘은 2023년 청년복지정책 총정리 해보겠습니다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제도들은 대부분 만족하시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이 글을 보시고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
청년도약계좌
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위해 원금에 더하여 정부가 기여금을 주는 제도입니다 매월 최대 70만 원 납입가능하고 5년 만기 되는 상품입니다 6월 출시예정입니다
지원대상
만 19세~만 36세 미만인 청소년이 대상입니다 연간 총급여가 7500만 원 이하여야 되고 가구중위소득이 중위 180% 이하여야 가능합니다 (1인가구 라면 2,077,892원 미만)
지원내용
월 최대납입가능금액 70만 원을 납입했을 때 정부기여금 24000원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월 724,000원을 5년 만기 6% 금리 적용했을 때 약 5000만 원 수령가능합니다
청년내일저축계좌
일하는 중간계층 청년이 사회에 안전하게 정착할 수 있도록 자산형성을 지원하고 자립을 도와주는 제도입니다
지원대상
만 19세~만 34세 청년을 대상으로 월 200만 원 이하 가구소득이 중위 100% 이하 여야 가능하고 또한 가구재산이 대도시 3.5억 원, 중소도시 2억 원, 농어촌 1.7억 원 이하여야 합니다
지원내용
중위소득 50% 이하 라면 월 10만 원 납입하면 정부에서 월 30만 원 지원합니다
중위소득 100% 이하 라면 월 10만 원 납입하면 정부에서 월 10만 원 지원합니다
근로소득이 낮을수록 정부지원금액이 높아집니다
장병내일준비적금
전역 이후 학업, 취업/창업 지원을 하여 사회에 안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적금상품이며 전역 6개월 전에 가입가능합니다
지원대상
현역병, 상근예비역, 의무경찰, 의무소방원, 사회복무요원, 대체복무요원 이 있습니다
가입기간은 최소 6개월부터 24개월까지입니다 이는 복무기간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육군의 경우 복무기간이 18개월이기 때문에 그만큼만 가능합니다
지원내용
월 최대납입가능금액 40만 원에 정부 기여금 30만 원을 받는다고 가정하면 18개월 만기 시 약 1200만 원 목돈이 생깁니다
청년월세특별지원
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제도입니다 올해 2023년 8월까지만 신청이 가능하니 이점 꼭 기억해 주세요
지원대상
만 18세~만 34세 미만 청년을 대상으로 따로 독립하고 무주택인 중위소득 60% 이하, 원가구(부모소득, 세대주소득) 소득이 중위 100% 이하여야 가능합니다
보증금 5000만 원 이하 이거나 월세 60만 원 이하 라면 지원하세요
지원내용
월최대 20만 원을 12개월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총 240만 원이며 매달 25일 날 본인이 지정한 계좌로 입금됩니다
공휴일 이거나 주말인 경우 전날 입금됩니다
청년내일채움공제
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을 대상으로 장기근 속 할 수 있게 장려, 지원하는 제도입니다
지원대상
근로자 5인~50인 미만 건설업, 제조업에 근로하고 만 15세~만 34세 미만인 청년이 대상이 됩니다 학교재학이나 휴학 중인 청년은 불가합니다
지원내용
2년 만기 상품으로 매월 125,000원을 납입하면 정부가 600만 원, 회사에서 300만 원을 받아 총 1200만 원 더하기 이자까지 가능합니다
청년마음건강지원
청년의 심리 건강 회복을 목적으로 건강한 사회구성원이 되도록 도와주는 제도입니다
지원대상
만 19세~만 34세 이하 청년이 지원대상입니다 자립준비청년이 1순위이고 복지센터에서 연계의뢰한 청년이 2순위가 됩니다
지원내용
전문심리상담이나 청년 맞춤형 상담 및 서비스를 10회 받을 수 있습니다
오늘은 청년복지정책에 대해 총정리해 보았습니다 관심이 가는 정책이 있다면 아래에 좀 더 자세한 포스팅을 살펴 봐주세요
댓글